ITunes University에 좋은 자료들이 제법 보인다.
스탠포드, 하버드, 호주의 스윈번즈등..
http://podcasts.swinburne.edu.au/ 여기 함 가보자. 좋다. 플래쉬 개발 비디오 강좌도 있다. 지금 이거 보고 있음...
2010년 5월 24일 월요일
윈도우7에서 "socket()" 함수가 -1 떨굴때/ socket() function returns -1 on windows7
Simon says.......Computer does not lie...
When you make command-line programming using visual studio rather then using automated MFC classes, you may encounter socket error that always returns -1 on "socket()" function call.
Following codes are required on intiali functions such as "main()"
Also, when you make it clear, you can use following code.
WSACleanup();
When you make command-line programming using visual studio rather then using automated MFC classes, you may encounter socket error that always returns -1 on "socket()" function call.
Following codes are required on intiali functions such as "main()"
int nErrorStatus;
WORD wVersionRequested = MAKEWORD(2, 2);
WSADATA wsaData;
WORD wVersionRequested = MAKEWORD(2, 2);
WSADATA wsaData;
nErrorStatus = WSAStartup(wVersionRequested, &wsaData);
if(nErrorStatus!=0)
{
printf("WSAStartup failed\n");
}
if(nErrorStatus!=0)
{
printf("WSAStartup failed\n");
}
Also, when you make it clear, you can use following code.
WSACleanup();
윈도우7에서 telnet 사용하기/How to use 'telent' on Windows7
Summary
=========
Control Pannel --> Program --> Windows Functions enable/disable --> check 'telnet client'
제어판->프로그램->프로그램 및 기능->Windows 기능 사용/사용 안함 클릭
제일 아래 텔넷클라이언트 체크박스 체크.
끝.
요기 참조하는게 더 빠를꺼임. 근데 애드센스인지 때문에연결이 가끔 허벌 느려짐.
http://cheum.net/entry/Telnet-uses-from-window-7
=========
Control Pannel --> Program --> Windows Functions enable/disable --> check 'telnet client'
제어판->프로그램->프로그램 및 기능->Windows 기능 사용/사용 안함 클릭
제일 아래 텔넷클라이언트 체크박스 체크.
끝.
요기 참조하는게 더 빠를꺼임. 근데 애드센스인지 때문에연결이 가끔 허벌 느려짐.
http://cheum.net/entry/Telnet-uses-from-window-7
2010년 5월 23일 일요일
Visual Studio: 명령어 인자 주기
아는 사람한텐 너무 쉬운거지만...
커맨드라인 옵션을 주고자 할때 사용방법~
이를테면,
c:\test.exe arg1 arg2
요로코롬 주고 싶은데 F5를 눌러버리면 그냥 test.exe만 실행됨.
인자 주려면~
"프로젝트속성 -> 디버그 -> 명령줄 인수" 에다가 인자("arg1 arg2")를 넣어주면 됨.
음..
알면 당연히 쉬운거고..
모르면 헤매는거고..
ㅋ~
커맨드라인 옵션을 주고자 할때 사용방법~
이를테면,
c:\test.exe arg1 arg2
요로코롬 주고 싶은데 F5를 눌러버리면 그냥 test.exe만 실행됨.
인자 주려면~
"프로젝트속성 -> 디버그 -> 명령줄 인수" 에다가 인자("arg1 arg2")를 넣어주면 됨.
음..
알면 당연히 쉬운거고..
모르면 헤매는거고..
ㅋ~
C로 된 함수를 C++에서 불러쓸때 참고사항
컴파일 레벨에서는 큰 문제없이 조정가능한데...
링킹할때 요상스런 메시지와 함께 에러가 뜨는 경우...
C함수를 프로토타이핑하고 있는 헤더를 include할때
#ifdef cplusplus
extern "C"
{
#endif
#include .....
#ifdef cplusplus
}
#endif
를 씌워주고 새로 컴파일 하면 됨.
이유는 말로 설명하자면 길어짐. 암튼 링킹할때 symbol을 Visual Studio가 못찾는 거임. prefix가 C++용 일떄와 C용일때 다르다는 정도만 알고... 그냥 습관적으로 마촤주자~
근디...
만약 MFC에서 커맨드라인용으로 컴파일 하다보면 저렇게 해도 안될꺼임.
걔는 디폴트로 "cplusplus"가 정의가 안 되어 있기 땜시롱...
그랄땐 그냥 무작정 extern "C" { ... }로 씌워버리삼.
링킹할때 요상스런 메시지와 함께 에러가 뜨는 경우...
C함수를 프로토타이핑하고 있는 헤더를 include할때
#ifdef cplusplus
extern "C"
{
#endif
#include .....
#ifdef cplusplus
}
#endif
를 씌워주고 새로 컴파일 하면 됨.
이유는 말로 설명하자면 길어짐. 암튼 링킹할때 symbol을 Visual Studio가 못찾는 거임. prefix가 C++용 일떄와 C용일때 다르다는 정도만 알고... 그냥 습관적으로 마촤주자~
근디...
만약 MFC에서 커맨드라인용으로 컴파일 하다보면 저렇게 해도 안될꺼임.
걔는 디폴트로 "cplusplus"가 정의가 안 되어 있기 땜시롱...
그랄땐 그냥 무작정 extern "C" { ... }로 씌워버리삼.
2010년 5월 20일 목요일
Visual Studio 2008에서 command line 프로그래밍 하기
프로토콜 스택만드는건데... 매번 UI 작업하는데 쫘증이 밀려와서 걍 command line programming으로 갈아탐.
간단한 작업 방법은 다음과 같음.
(*참고. 떡검 색히들. 개나라당 색휘들.. 이런 떨거지들을 지지하는 넘들은 내 블로그 보지마라. 느그들 보라고 쓴글 아니다. 물수제비 폭탄에 맞아바야 아~~~ 인생 둋같이 살았구나 할끼야?)
암튼......
먼저 1번...
아... 1번이라고 쓰면 북한이 사주한 거라고 할라나? 븅신들. 개좆중똥들...
언제부터 '1번'이란 말을 쓰면 북한이랑 연결시키는 거냐? 수치를 모르는 종자들.
1. 프로젝트 새로만들기 --> Visual C++ --> Win32 --> Win32 콘솔 응용 프로그램 선택
머..프로젝트야 알아서 이렇게 만들면 됨.
2. 끝! ㅎㅎ
팁1. pthread등 기타 라이브러리를 쓰면 Alt-F7 눌러서 프로젝트 셋팅에서 관련 lib 파일 추가.
팁2. socket 프로그램일 경우 마찬가지로 "Ws2_32.lib"추가
팁3. main 함수가 조금 다르게 생겼을 꺼임. 그냥 하던대로 하고 싶음 아래와 같이 해도 무방
int main(int argc, char *argv[])
{
}
#if 0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return 0;
}
#endif
unicode등 때문에 저렇게 한건데... 필요에 따라 _tmain을 써도 되고...
간단한 작업 방법은 다음과 같음.
(*참고. 떡검 색히들. 개나라당 색휘들.. 이런 떨거지들을 지지하는 넘들은 내 블로그 보지마라. 느그들 보라고 쓴글 아니다. 물수제비 폭탄에 맞아바야 아~~~ 인생 둋같이 살았구나 할끼야?)
암튼......
먼저 1번...
아... 1번이라고 쓰면 북한이 사주한 거라고 할라나? 븅신들. 개좆중똥들...
언제부터 '1번'이란 말을 쓰면 북한이랑 연결시키는 거냐? 수치를 모르는 종자들.
1. 프로젝트 새로만들기 --> Visual C++ --> Win32 --> Win32 콘솔 응용 프로그램 선택
머..프로젝트야 알아서 이렇게 만들면 됨.
2. 끝! ㅎㅎ
팁1. pthread등 기타 라이브러리를 쓰면 Alt-F7 눌러서 프로젝트 셋팅에서 관련 lib 파일 추가.
팁2. socket 프로그램일 경우 마찬가지로 "Ws2_32.lib"추가
팁3. main 함수가 조금 다르게 생겼을 꺼임. 그냥 하던대로 하고 싶음 아래와 같이 해도 무방
int main(int argc, char *argv[])
{
}
#if 0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return 0;
}
#endif
unicode등 때문에 저렇게 한건데... 필요에 따라 _tmain을 써도 되고...
윈도우 프로그래밍: 짜증나는 GUI 프로그래밍..
사소한 기능 하나 만드는데에도 GUI를 만들어주고
변수만들어주고 연결해주고...
다시 화면에 보이도록 리스트, 트리...등등..
그러다 UI 로직 바뀌면 삭 새로 짜고 -_-# 뷁!
으아아아아악!!! 짜증나!!!
그냥 리눅스에 하듯이 커맨드 라인입력 받고..출력하고 하면 얼마나 편해애애애애애~!!
쫌 쉬운 UI 프로그래밍 방법 없나...
Qt로 넘어갈까부다. 에이 구찮으!!
변수만들어주고 연결해주고...
다시 화면에 보이도록 리스트, 트리...등등..
그러다 UI 로직 바뀌면 삭 새로 짜고 -_-# 뷁!
으아아아아악!!! 짜증나!!!
그냥 리눅스에 하듯이 커맨드 라인입력 받고..출력하고 하면 얼마나 편해애애애애애~!!
쫌 쉬운 UI 프로그래밍 방법 없나...
Qt로 넘어갈까부다. 에이 구찮으!!
2010년 5월 17일 월요일
2세대 해킹팟 --> 3세대(OS 3.0) 해킹팟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206&docId=69506040&qb=7JWE7J207YyfIE9TIOyXheq3uOugiOydtOuTnA==&enc=utf8§ion=kin&rank=1&sort=0&spq=0&pid=f/aFRg331y0ssatg6wZssv--425611&sid=S-FnNPJZ8UsAAE1qFj0
여성 아이돌 그룹 표절 참 많이 한다.
내가 음악을 그리 많이 듣는 편은 아니지만..
가끔 TV나 라디오등을 통해 들려오는 아이돌그룹들의 노래가 내 귀에 짝짝 달라 붙는다.
근데..
어? 어라? 어어어라라? 이거 많이 듣던 멜로디인데? 아... 번안곡 이구나...
근데 이게 왠일? 다 자작곡이라고 하네?
특히, 카라의 루팡은.... 요건 제일 좋아하는 노래이긴 한데 쫌 어디서 많이 듣던... 표절지적을 받는 부분 말고 하이라이트부분이 상당히 귀에 익음..
티아라의 너땜시롱 미쳐뿐당게.... 요건...쫌... 베낄게 없어 브리트니꺼를 베끼냐.. 그냥 사오지 그랬어...
(http://blog.naver.com/khsgreat?Redirect=Log&logNo=60104376767 참고)
이건 너무 노골적인거 아닌가 싶을정도....
허긴... 나라 돌아가는 꼬라지가... 검은색도 희다고 빤빤하게 우겨대는데.... 광대판들이야 오죽할까..
일종의 나랏님들 하는 꼬라지에 대한 패러디인가부지.
가끔 TV나 라디오등을 통해 들려오는 아이돌그룹들의 노래가 내 귀에 짝짝 달라 붙는다.
근데..
어? 어라? 어어어라라? 이거 많이 듣던 멜로디인데? 아... 번안곡 이구나...
근데 이게 왠일? 다 자작곡이라고 하네?
특히, 카라의 루팡은.... 요건 제일 좋아하는 노래이긴 한데 쫌 어디서 많이 듣던... 표절지적을 받는 부분 말고 하이라이트부분이 상당히 귀에 익음..
티아라의 너땜시롱 미쳐뿐당게.... 요건...쫌... 베낄게 없어 브리트니꺼를 베끼냐.. 그냥 사오지 그랬어...
(http://blog.naver.com/khsgreat?Redirect=Log&logNo=60104376767 참고)
이건 너무 노골적인거 아닌가 싶을정도....
허긴... 나라 돌아가는 꼬라지가... 검은색도 희다고 빤빤하게 우겨대는데.... 광대판들이야 오죽할까..
일종의 나랏님들 하는 꼬라지에 대한 패러디인가부지.
2010년 5월 15일 토요일
오픈소스 게임류
예전 한참 공부할때에는 오픈소스 게임의 수준이 그닥~수준이거나
머드게임이 주를 이루었었는데...
요즘엔 머드게임 찾는게 더 어려운 듯... 이게 소켓 프로그래밍 공부에는 짱인데...
암튼..
격투게임, MMORPG게임류도 제법 오픈소스가 나오는 모양임.
(여기서 정보 얻음: http://gamemook.com/entry/mmorpg-ryzom-now-open-source)
머드게임이 주를 이루었었는데...
요즘엔 머드게임 찾는게 더 어려운 듯... 이게 소켓 프로그래밍 공부에는 짱인데...
암튼..
격투게임, MMORPG게임류도 제법 오픈소스가 나오는 모양임.
- Ryzom : http://dev.ryzom.com/
(여기서 정보 얻음: http://gamemook.com/entry/mmorpg-ryzom-now-open-source)
- http://blog.wolfire.com/2010/05/Lugaru-goes-open-source
파이어폭스 검색엔진 추가하기
파이어폭스가 요즘 이상한데 나만의 현상인지 뭔지 모르겠음.
일단 증상.
1. 맥북: 검색엔진에 네이버 추가 안됨. 아이맥에는 잘 되어 있는데..
2. 윈도우 : gmail에서 메일 내용 입력할때 한영전환 안됨. PC가 2대 있는데 모두 동일증상.
해결 방법
1. 검색엔진 추가 :
원리는 http://www.numz.net/won/analysis/?item_no=384154를 참고하면 되고...
그냥 바로 추가하고 싶으면 http://mycroft.mozdev.org/search-engines.html?name=Naver 에 가서 네이버 선택하면 됨
2. gmail 한글입력 안되는거:
원천적 해결방법 못찾음. 그냥 ESC누르고 다시 입력창 클릭으로 걍 넘어가고 있음.
일단 증상.
1. 맥북: 검색엔진에 네이버 추가 안됨. 아이맥에는 잘 되어 있는데..
2. 윈도우 : gmail에서 메일 내용 입력할때 한영전환 안됨. PC가 2대 있는데 모두 동일증상.
해결 방법
1. 검색엔진 추가 :
원리는 http://www.numz.net/won/analysis/?item_no=384154를 참고하면 되고...
그냥 바로 추가하고 싶으면 http://mycroft.mozdev.org/search-engines.html?name=Naver 에 가서 네이버 선택하면 됨
2. gmail 한글입력 안되는거:
원천적 해결방법 못찾음. 그냥 ESC누르고 다시 입력창 클릭으로 걍 넘어가고 있음.
2010년 5월 6일 목요일
윈도우7 정품 인증 업데이트
윈도우 XP에서부터 적용되기 시작한 훌륭한 기능인 정품인증 기능이 윈도우7에도 역시 있다.
정품을 써야 하는 사실은 틀림없는 사실!! !!
복돌이들은 입이 백개라도 할말 없음!!
그냥 조용히 감사한 마음으로 쓰는것에나 감복해야 할 일!
물론 정품구입으로 꼭 이어져야 할 거임.
다만....쫌 싸게 깎아주면 더욱 고마울터!
최근 윈도우7 정품인증 업데이트로 인해 대량의 밴(?)이 예상됨.
다만, 내껀 분명히 정품인데.. 분명 제대로 인증까지 다 했는데~!! 혹여.. 정품이 아니라고 뜰때를 위한 방법은...
아래를 참고.
http://windowsforum.kr/?_filter=search&mid=board04&search_target=title&search_keyword=%EF%BF%BD%EC%94%A4%EF%A7%9D%EF%BF%BD&document_srl=942215
그리고 여기를 참고..
http://www.blogger.com/post-create.g?blogID=6451847104785419526
에헴!
정품 쓰십셔.
정품을 써야 하는 사실은 틀림없는 사실!! !!
복돌이들은 입이 백개라도 할말 없음!!
그냥 조용히 감사한 마음으로 쓰는것에나 감복해야 할 일!
물론 정품구입으로 꼭 이어져야 할 거임.
다만....쫌 싸게 깎아주면 더욱 고마울터!
최근 윈도우7 정품인증 업데이트로 인해 대량의 밴(?)이 예상됨.
다만, 내껀 분명히 정품인데.. 분명 제대로 인증까지 다 했는데~!! 혹여.. 정품이 아니라고 뜰때를 위한 방법은...
아래를 참고.
http://windowsforum.kr/?_filter=search&mid=board04&search_target=title&search_keyword=%EF%BF%BD%EC%94%A4%EF%A7%9D%EF%BF%BD&document_srl=942215
그리고 여기를 참고..
http://www.blogger.com/post-create.g?blogID=6451847104785419526
에헴!
정품 쓰십셔.
2010년 5월 3일 월요일
Endian 관련 함수들
int SHORT_little_endian_TO_big_endian(int i)
{
return ((i>>8)&0xff)+((i << 8)&0xff00);
}
// 4-byte number
int INT_little_endian_TO_big_endian(int i)
{
return((i&0xff)<<24)+((i&0xff00)<<8)+((i&0xff0000)>>8)+((i>>24)&0xff);
}
ntohl() //Network to Host byte order (Long)
htonl() //Host to Network byte order (Long)
ntohs() //Network to Host byte order (Short)
htons() //Host to Network byte order (Short)
unsigned int change_endian(unsinged int x)
{
unsigned char *ptr = (unsigned char *)&x;
return (ptr[0] << 24) | (ptr[1] << 16) | (ptr[2] << 8) | ptr[3];
}
{
return ((i>>8)&0xff)+((i << 8)&0xff00);
}
// 4-byte number
int INT_little_endian_TO_big_endian(int i)
{
return((i&0xff)<<24)+((i&0xff00)<<8)+((i&0xff0000)>>8)+((i>>24)&0xff);
}
ntohl() //Network to Host byte order (Long)
htonl() //Host to Network byte order (Long)
ntohs() //Network to Host byte order (Short)
htons() //Host to Network byte order (Short)
unsigned int change_endian(unsinged int x)
{
unsigned char *ptr = (unsigned char *)&x;
return (ptr[0] << 24) | (ptr[1] << 16) | (ptr[2] << 8) | ptr[3];
}
루비 & 루비 온 레일즈에 대한 단상 2
슬슬 재미가 들을려고 함.
일단 레일에 올라타기가 꽤 개나라당 스러워 그렇지 일단 올라타면 반복패턴 작업임.
DRY(Don't Repeat Yourself)가 모토이긴 한데..
아직 예전 코딩습관을 버리질 못해 매우 반복적인 코드를 짜고 있음.
그러나 문서나 서적의 수준은 아직도 밑바닥..
우리나라에서는 2년전까진 그나마 있다가 지금은 거의 씨가 마른 수준..
외국에선 잘 나간다고는 하는데....
솔직히.... 이거 프로젝트 진행하는 애들이 "이제 나 안해" 하면 대책 안 설수 있음.
아.... 루비온레일즈는 괜춘한데..
루비 언어가 괜춘한건진 아직 감이 안 섬. 그닥...
일단 레일에 올라타기가 꽤 개나라당 스러워 그렇지 일단 올라타면 반복패턴 작업임.
DRY(Don't Repeat Yourself)가 모토이긴 한데..
아직 예전 코딩습관을 버리질 못해 매우 반복적인 코드를 짜고 있음.
그러나 문서나 서적의 수준은 아직도 밑바닥..
우리나라에서는 2년전까진 그나마 있다가 지금은 거의 씨가 마른 수준..
외국에선 잘 나간다고는 하는데....
솔직히.... 이거 프로젝트 진행하는 애들이 "이제 나 안해" 하면 대책 안 설수 있음.
아.... 루비온레일즈는 괜춘한데..
루비 언어가 괜춘한건진 아직 감이 안 섬. 그닥...
Ruby; Cookie & Session
쿠키(Cookie) 방식이 아마... 1998년쯤 제안되어서 사용된 것으로 기억하는데..
아직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
머 기본 아이디어는..... 단순해서리... 굳이 어렵게 생각할건 엄뜸.
사용자 브라우저(뽜이어뽁스, 인스플뤄등)에서 웹사이트에서 넘겨받은 값을 저장하고 있다가.. 웹사이트에서 필요로 할 때 마다 넘겨주는 데이터를 의미하는데...
(즉, 식당에서 번호표를 줄 선 손님들한테 노나 줬다가 직원이 "몇번 이시죠?" 라고 물으면 번호표를 보고 "저 몇번인데요" 하는 거임)
(또다른 예로... 개나라당이 떡검한테 공천권 순서표 노나 줬다가... 개나라가 "몇번째고?"라고 물으면... "지가요 행님 정적도 누명뒤집어서리 솎아냈고요~ 좀 신경써 주이소~ 그라고, 저 몇번입네다" 라고 대답하는거임.)
아..또 배가 산으로 갔다.
암튼, 근데 이것이 클라이언트 브라우저에 있다보니 조작이 가능함. 이를 확인키 위해 서버쪽에서도 서로 값을 가지고 있어줘야 함. 그래서리 비교해보도록 함.
단순 쿠키를 넣는 방법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알아보도록 하고..
일단 세션을 활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음( 즉, 쿠키도 쓰고 서버에다가 저장도 하고)
1. rake db:sessions:create
2. rake db:migrate
3. application_controller.rb 파일을 열고
protect_from_forgery:secret=>'8fc080370e56e929a2d5afca5540a0f7'
요 줄을 위처럼 수정해 줌. 근데 뒤의 난수는 막 때려넣으면 될 듯 함.
3.5 config/environment.rb 파일을 열고... 젤 끝에 쯤에다가
config.action_controller.session_store=:active_record_store
config.action_controller.session={
:session_key=>'_dduckgum_session',
:secret=>'f914e9b1bbdb829688de8512f...9b1810a4e238a61dfd922dc9dd62521'
}
이걸 우겨 넣음. 물론, 적절히 위 내용에서 값 수정해도 됨.
4. script/server 재실행
5. 사용법
sessions[:user] = "userid" : 할당할때(주로 로긴할때겠지)
sessions[:user] = nil : 값 날릴때(당빠 로그아웃이지)
필요할때마다 sessions[:user] 를 불러다 쓰면 됨.
":user"는 당연히 느그들이 원하는 변수명 갖다 쓰면 됨.
즉, sessions[:dduckgum] 라고 써도 된다는 말임.
6. 가끔!!
다 하라고 하는대로 했는데도 안될수도 있다. 그땐 db가 꼬였다고 생각하고, rake db:sessions:clear 로 함 날려주고 새로 해보자.
안되면 브라우저 죽였다 띄우는 것도 한 방법..
@여기서 개나라당은 한나라당 아님. 오케? 사면바리 개놜하당아.
@여기서 떡검은 대한민국 검찰 아님. 절대 아님. 오케? 난독증 색검아.
@습하 더러버서..
아직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음.
머 기본 아이디어는..... 단순해서리... 굳이 어렵게 생각할건 엄뜸.
사용자 브라우저(뽜이어뽁스, 인스플뤄등)에서 웹사이트에서 넘겨받은 값을 저장하고 있다가.. 웹사이트에서 필요로 할 때 마다 넘겨주는 데이터를 의미하는데...
(즉, 식당에서 번호표를 줄 선 손님들한테 노나 줬다가 직원이 "몇번 이시죠?" 라고 물으면 번호표를 보고 "저 몇번인데요" 하는 거임)
(또다른 예로... 개나라당이 떡검한테 공천권 순서표 노나 줬다가... 개나라가 "몇번째고?"라고 물으면... "지가요 행님 정적도 누명뒤집어서리 솎아냈고요~ 좀 신경써 주이소~ 그라고, 저 몇번입네다" 라고 대답하는거임.)
아..또 배가 산으로 갔다.
암튼, 근데 이것이 클라이언트 브라우저에 있다보니 조작이 가능함. 이를 확인키 위해 서버쪽에서도 서로 값을 가지고 있어줘야 함. 그래서리 비교해보도록 함.
단순 쿠키를 넣는 방법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알아보도록 하고..
일단 세션을 활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음( 즉, 쿠키도 쓰고 서버에다가 저장도 하고)
1. rake db:sessions:create
2. rake db:migrate
3. application_controller.rb 파일을 열고
protect_from_forgery:secret=>'8fc080370e56e929a2d5afca5540a0f7'
요 줄을 위처럼 수정해 줌. 근데 뒤의 난수는 막 때려넣으면 될 듯 함.
3.5 config/environment.rb 파일을 열고... 젤 끝에 쯤에다가
config.action_controller.session_store=:active_record_store
config.action_controller.session={
:session_key=>'_dduckgum_session',
:secret=>'f914e9b1bbdb829688de8512f...9b1810a4e238a61dfd922dc9dd62521'
}
이걸 우겨 넣음. 물론, 적절히 위 내용에서 값 수정해도 됨.
4. script/server 재실행
5. 사용법
sessions[:user] = "userid" : 할당할때(주로 로긴할때겠지)
sessions[:user] = nil : 값 날릴때(당빠 로그아웃이지)
필요할때마다 sessions[:user] 를 불러다 쓰면 됨.
":user"는 당연히 느그들이 원하는 변수명 갖다 쓰면 됨.
즉, sessions[:dduckgum] 라고 써도 된다는 말임.
6. 가끔!!
다 하라고 하는대로 했는데도 안될수도 있다. 그땐 db가 꼬였다고 생각하고, rake db:sessions:clear 로 함 날려주고 새로 해보자.
안되면 브라우저 죽였다 띄우는 것도 한 방법..
@여기서 개나라당은 한나라당 아님. 오케? 사면바리 개놜하당아.
@여기서 떡검은 대한민국 검찰 아님. 절대 아님. 오케? 난독증 색검아.
@습하 더러버서..
Ruby; link_to 사용법

근데 :confirm이 먹지 않는다. 찾아보니, javascript를 include해야 하는 것 같은데...
넣어도 안되네? 왤까...
==> 순서가 중요함.
요기서 보는 바와 같이 :confirm은 두번쨰 옵션이 되어야 함. 즉, { ... }에 있는게 옵션1, :confirm은 옵션2가 되어야 함.
털썩.... 구리다....
Refer))
http://www.tutorialspoint.com/ruby-on-rails-2.1/rails-html-links.htm
http://www.ruby-forum.com/topic/174513
국내 신문사 특색 정리(to be refreshed)
조모 일보: 쓰레기, 극우파, 메카시즘, 친일파의 대변자. 한 겨울에 사내 게시판에 "추워요~"라고 쓴 글을 여름 기사에 "공공기관 에너지 낭비 극심! 춥다고 아우성" 이라고 쓰는 개쓰레기. 이완용의 후학들.
중모 일보: 삼성홍보지...가끔 극우기사 띄우는데... 정체성이 사실 헷갈리는.. 그냥 홍보지나 하지..왠 정치판에 껴들어서리...
동아 일보: 조모일보보다는 덜 극우파. 그러나 극우파라는 사실에는 변화 없음.
서울 일X: 극우파에 합류중. 가끔 뜬금없는 기사를 띄웠다 내렸다 하면서 게릴라즘을 보여주고있음.
뉴데일X: 이건 조모일보보다 훨씬 극우파. 뉴또라이들로 구성된 극극우파. 나치즘하고 비슷한 수준. 지옥이 있다면 가장 뜨거운 불지옥에 떨어질 인간들이 모여서 만든 신문.
세계 일X: 근거없는 기사의 일인자로 등극 중. 결코 확인할 수 없는 "모 전문가에 의하면~", "내부 관계자에 의하면~" 을 남발. 얘네도 게릴라즘에 합류
한겨X : 대표적인 진보신문..비판이 살아 있으나... 비판만 살아 있기도한....
경향일X: 원래 완전진보는 아니었지만 삼숭/개나라당과 대립각을 세우면서 진보신문으로 거듭났음.
내일X문: 이거 물건이다. 미디어 오늘과 유사한 정도로 저널리즘이 살아 있다. 탐사보도 추적보도 좋다. 잘되길 바란다.
신동X: 이건 동모일보처럼 쓰레기가 아니다. 이름만 비슷할 뿐 저널리즘이 살아있다라고 볼수 있음
중모 일보: 삼성홍보지...가끔 극우기사 띄우는데... 정체성이 사실 헷갈리는.. 그냥 홍보지나 하지..왠 정치판에 껴들어서리...
동아 일보: 조모일보보다는 덜 극우파. 그러나 극우파라는 사실에는 변화 없음.
서울 일X: 극우파에 합류중. 가끔 뜬금없는 기사를 띄웠다 내렸다 하면서 게릴라즘을 보여주고있음.
뉴데일X: 이건 조모일보보다 훨씬 극우파. 뉴또라이들로 구성된 극극우파. 나치즘하고 비슷한 수준. 지옥이 있다면 가장 뜨거운 불지옥에 떨어질 인간들이 모여서 만든 신문.
세계 일X: 근거없는 기사의 일인자로 등극 중. 결코 확인할 수 없는 "모 전문가에 의하면~", "내부 관계자에 의하면~" 을 남발. 얘네도 게릴라즘에 합류
한겨X : 대표적인 진보신문..비판이 살아 있으나... 비판만 살아 있기도한....
경향일X: 원래 완전진보는 아니었지만 삼숭/개나라당과 대립각을 세우면서 진보신문으로 거듭났음.
내일X문: 이거 물건이다. 미디어 오늘과 유사한 정도로 저널리즘이 살아 있다. 탐사보도 추적보도 좋다. 잘되길 바란다.
신동X: 이건 동모일보처럼 쓰레기가 아니다. 이름만 비슷할 뿐 저널리즘이 살아있다라고 볼수 있음
2010년 5월 2일 일요일
루비 & 루비 온 레일즈에 대한 단상
내 살다살다 이렇게 문서화 엉망이고 프로그래밍 로직이 자의적인(또는 규칙이 없는) 랭기지는 참 처음 본다.
그냥... 개인적인 프로젝트 랭기지 수준이라고 해야 하나? 도저히 범용 수준의 랭기지로 보기에는 짜증이 물밀려 온다.
변수명도 내가 원한 이름이 아닌 자동으로 복수형으로 만들어진다거나...
리턴값 확인하는 루틴자체가 없다거나...
물론 알면 좋다.
근데 알려고 해도 알 방법이 없다.
그냥 알음알음 누가 이런걸 이렇게 해결했다더라 라는 내용으로 파악해 가야 한다니...
한참 멀었다.....
왜! 에 대한 설명이 너무나도 부족한 언어....
그냥 블로그나 만드는데 만족해야 할 언어로 보인다.
그냥... 개인적인 프로젝트 랭기지 수준이라고 해야 하나? 도저히 범용 수준의 랭기지로 보기에는 짜증이 물밀려 온다.
변수명도 내가 원한 이름이 아닌 자동으로 복수형으로 만들어진다거나...
리턴값 확인하는 루틴자체가 없다거나...
물론 알면 좋다.
근데 알려고 해도 알 방법이 없다.
그냥 알음알음 누가 이런걸 이렇게 해결했다더라 라는 내용으로 파악해 가야 한다니...
한참 멀었다.....
왜! 에 대한 설명이 너무나도 부족한 언어....
그냥 블로그나 만드는데 만족해야 할 언어로 보인다.
2010년 5월 1일 토요일
Ogame 과 그 아류들.. 그리고 국내 서비스
[1] 일단 정식 ogame은 gameforge에서 운영하는 '오게임(www.ogame.org)'임
[2] 근데 이거이가 재미있으니까 다양한 오픈소스 프로젝트 등장
[3] 국내 운영 사이트
- 모게임2(www.mogame2.kr)
유료결재 시스템등이 없는 순수한 비영리로 운영되고 있음. 그러다보니 망투자가 안되어서 극도로 불안한 상황. 5월부터 나아진다고 하니 기대중이기는 하나 부분적으로 유료화가 진행될 것으로 보임. 초기 oasisrage기반으로 작업하다가 현재는 XGP기반임
*추가(2010.05.20): http://forum.mogame2.kr/metabbs.php/post/32
5월 22일 리뉴얼 후 서비스 재개 한다는 군요. 현재까지 공개된 이미지로 보건데 인터페이스가 화려하고 개발/관리 하시는 분이 의욕이 있으니 앞으로 큰 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상되는 사이트임. 스크립트 하나 짜서 매일 DB파일을 백업해 주시는 쎈스!!를 발휘해 주시기 바랍니다. ^^ 공간이 걱정이 된다면, gmail쪽 이메일 계정으로 보내도록 만들어 놓으면 되지 않을까 한다능~ 아무튼 화이팅입니다. 벌써 개장이 기다려지는군요.
- 인맵 (http://inmap.cafe24.com/xnova/login.php)
유료가 도입되다보니 빠른 속도와 쾌적한 게임 환경을 제공하긴 하나... 유료이다보니 밸런스가 무너질것 같음. 약간 버그도 보이기는 하는데 게임하는데는 지장없음. xnova기반 게임.
- 다카하시?(http://121.167.133.222/dakahashi/)
XGP기반으로 비공식적으로 운영되는 사이트인듯..
디자인도 새로 만든것 같고, 나름 HTML/CSS등에 조예가 있는 사람이 만든듯. 다만..... 게임하나 하자는데 주민번호가 왜 필요하니? ( ---> 아무 번호나 쳐도 들어감 )
===> 오늘(05.06) 갑자기 맛 갔음. 로긴 안되길래 들어가봤더니... 여기도 DB 파일 날려먹음. 쩝쩝... 모게임2가 잘 안되길래 이곳의 성장에 꽤 공을 들였는데... 며칠새 데이터 완전히 날려먹음..
[4] 결어
- 시스템 밸런스를 무너트릴 위험을 가진 유료화를 꼭 해야 했을까?
물론 서버 운영하려면 돈이 든다. 하지만 다른 편의장치나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그쪽에서 돈을 받는게 더 낫지 않았을까 한다. 이를테면, 적의 공격이 오거나 할때 SMS나 email로 전달해주는...정도? 게임의 밸런스가 돈빨에 무너지지 않을수 있도록 할 수 있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있다.
- 국내 게등위가 하는 일?
요즘 이런 조직이 왜 필요한가 싶다. 물론 잔인하거나 선정적인 게임은 아이들이 못하도록 막아야겠지만.. 구더기 무서워 장 못담그는 형태의 접근방법이 매우 아쉽다.
모든 게임물에 대해 심의를 받으라는건.... 모든 출간되는 책에 대해서도 심의를 받으라는 것과 마찬가지가 아닌가. 차라리, 자율적으로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고 업체 자체적인 기준에 따라 연령을 제한토록 하되, 문제가 되었을때 처벌을 매우 강력하게 내리는게 어떨까 한다.
- 사용자 데이터의 시스템적 중요성, 신뢰적 중요성(추가)
아...이건 수백번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는 것인데... 다른 건 다 날려먹어도 사용자의 게임데이터는 절대 날리지 말아야 하는것인데.... 아무래도 학생들이고...개발자들이거나 개발에 관심있는 분들이다보니... 그 쪽에 큰 관심을 두지 않은게 아닌가 싶다. 물론 무료로 운영되는것이니 언제 접어도 이상할 일은 없으나, 게임상의 성장에 적지 않은 시간들을 투자한 사람들한테는 큰 실례를 저지른 것이다. 이번 실수들을 토대로 앞으로의 성장에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
아.... 두군데에서 연타로 내상을 입으니.... 쩝... 접으란 하늘의 계신가부다. 오늘은 위닝10을 달려야겠다. ㅋ~
[2] 근데 이거이가 재미있으니까 다양한 오픈소스 프로젝트 등장
- oasisrage
- Xnova
- XGP
[3] 국내 운영 사이트
- 모게임2(www.mogame2.kr)
유료결재 시스템등이 없는 순수한 비영리로 운영되고 있음. 그러다보니 망투자가 안되어서 극도로 불안한 상황. 5월부터 나아진다고 하니 기대중이기는 하나 부분적으로 유료화가 진행될 것으로 보임. 초기 oasisrage기반으로 작업하다가 현재는 XGP기반임
*추가(2010.05.20): http://forum.mogame2.kr/metabbs.php/post/32
5월 22일 리뉴얼 후 서비스 재개 한다는 군요. 현재까지 공개된 이미지로 보건데 인터페이스가 화려하고 개발/관리 하시는 분이 의욕이 있으니 앞으로 큰 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상되는 사이트임. 스크립트 하나 짜서 매일 DB파일을 백업해 주시는 쎈스!!를 발휘해 주시기 바랍니다. ^^ 공간이 걱정이 된다면, gmail쪽 이메일 계정으로 보내도록 만들어 놓으면 되지 않을까 한다능~ 아무튼 화이팅입니다. 벌써 개장이 기다려지는군요.
- 인맵 (http://inmap.cafe24.com/xnova/login.php)
유료가 도입되다보니 빠른 속도와 쾌적한 게임 환경을 제공하긴 하나... 유료이다보니 밸런스가 무너질것 같음. 약간 버그도 보이기는 하는데 게임하는데는 지장없음. xnova기반 게임.
- 다카하시?(http://121.167.133.222/dakahashi/)
XGP기반으로 비공식적으로 운영되는 사이트인듯..
디자인도 새로 만든것 같고, 나름 HTML/CSS등에 조예가 있는 사람이 만든듯. 다만..... 게임하나 하자는데 주민번호가 왜 필요하니? ( ---> 아무 번호나 쳐도 들어감 )
===> 오늘(05.06) 갑자기 맛 갔음. 로긴 안되길래 들어가봤더니... 여기도 DB 파일 날려먹음. 쩝쩝... 모게임2가 잘 안되길래 이곳의 성장에 꽤 공을 들였는데... 며칠새 데이터 완전히 날려먹음..
[4] 결어
- 시스템 밸런스를 무너트릴 위험을 가진 유료화를 꼭 해야 했을까?
물론 서버 운영하려면 돈이 든다. 하지만 다른 편의장치나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그쪽에서 돈을 받는게 더 낫지 않았을까 한다. 이를테면, 적의 공격이 오거나 할때 SMS나 email로 전달해주는...정도? 게임의 밸런스가 돈빨에 무너지지 않을수 있도록 할 수 있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있다.
- 국내 게등위가 하는 일?
요즘 이런 조직이 왜 필요한가 싶다. 물론 잔인하거나 선정적인 게임은 아이들이 못하도록 막아야겠지만.. 구더기 무서워 장 못담그는 형태의 접근방법이 매우 아쉽다.
모든 게임물에 대해 심의를 받으라는건.... 모든 출간되는 책에 대해서도 심의를 받으라는 것과 마찬가지가 아닌가. 차라리, 자율적으로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고 업체 자체적인 기준에 따라 연령을 제한토록 하되, 문제가 되었을때 처벌을 매우 강력하게 내리는게 어떨까 한다.
- 사용자 데이터의 시스템적 중요성, 신뢰적 중요성(추가)
아...이건 수백번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는 것인데... 다른 건 다 날려먹어도 사용자의 게임데이터는 절대 날리지 말아야 하는것인데.... 아무래도 학생들이고...개발자들이거나 개발에 관심있는 분들이다보니... 그 쪽에 큰 관심을 두지 않은게 아닌가 싶다. 물론 무료로 운영되는것이니 언제 접어도 이상할 일은 없으나, 게임상의 성장에 적지 않은 시간들을 투자한 사람들한테는 큰 실례를 저지른 것이다. 이번 실수들을 토대로 앞으로의 성장에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
아.... 두군데에서 연타로 내상을 입으니.... 쩝... 접으란 하늘의 계신가부다. 오늘은 위닝10을 달려야겠다. ㅋ~
PSP에서 PS1 게임을 돌리는 방법
험.. PSN network에서 ps1게임을 다운 받아서 플레이 하면 됨.
뭘 더 바램?
또다른 방법이 있다는데 뭔소리인지는 모르겠음. 커피는 뭔지... 가카가알면떡검하고뉴또라이시켜4강판다고하겠군
일단 적어는 봄.
[1] 뭔가를 다운. (가카에게도개념다운)
http://nitroroms.com/list/Sony%20Playstation%20%28PSX%29/by-name/page-1
[2] 뉴또라이들을 떡검(EBOOT.PBP)으로 변환
[3] 떡검을 "PSP\GAMES\디렉토리명" 에다가 때려넣기
좀더 자세한 방법은 아래 참고
http://scoops.tistory.com/25
뭘 더 바램?
또다른 방법이 있다는데 뭔소리인지는 모르겠음. 커피는 뭔지... 가카가알면떡검하고뉴또라이시켜4강판다고하겠군
일단 적어는 봄.
[1] 뭔가를 다운. (가카에게도개념다운)
http://nitroroms.com/list/Sony%20Playstation%20%28PSX%29/by-name/page-1
[2] 뉴또라이들을 떡검(EBOOT.PBP)으로 변환
[3] 떡검을 "PSP\GAMES\디렉토리명" 에다가 때려넣기
좀더 자세한 방법은 아래 참고
http://scoops.tistory.com/25
피드 구독하기:
덧글 (Atom)